이번 글에서는 주식 양도소득세, 주식세(증권거래세, 배당소득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양도 소득세, 주식 세금 (증권거래세, 배당소득세)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설명을 참고해주세요.
주식 양도 소득세
주식 양도세란? 주식을 거래하는 경우 주식 양도 소득에 대해서도 다른 소득세와 마찬가지로 과세해야 합니다.
- 주식양도소득에 대한 소득세
- 대주주가 있는지, 중소기업인지, 거래소 거래가 있는지 등에 따라 세율이 다르다.
주식양도소득세의 세율은 주식을 양도한 자가 대주주인지, 주식이 중소기업주인지, 장외거래인지, 장외거래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렇다면 주식 양도소득세의 대상은 무엇이고, 세율은 어떻게 될까요?
주식 자본 이득세: 과세 대상
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등 주권상장법인의 대주주가 소유한 주식을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양도하는 경우 양도소득세는 1개만 있어도 양도소득세가 과세된다. 지분이 이전됩니다.
- 대주주 : 중소기업, 거래소 상장 여부를 불문하고 양도소득에 대한 과세
- 소액주주: 주식시장을 통한 거래 시 양도소득세 면제, 장외거래 시 양도소득세 과세
주식상장법인의 소액주주가 주식시장을 통하여 주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과세되지 않으나 주식시장 외의 양도는 과세된다.
비상장법인의 주식을 양도하는 경우 대주주와 소액주주 모두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이 됩니다. 다만, 비상장법인이라도 소액주주가 K-OTC를 통해 양도한 중소기업 주식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주식 자본 이득세: 계산 방법
그렇다면 주식양도소득세의 세율과 산정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주식 양도소득세율 및 계산방법은 해당 주식이 대주주인지 중소기업인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 대주주의 경우에도 보유기간, 양도소득세 과세표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대주주 : 1년 이상 보유기간, 중소기업 여부, 양도소득 과세표준 등에 따라 다름
- 소액주주 : 중소기업 여부, 거래소 거래 여부에 따라 다름
소액주주의 경우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장내거래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다만, 장외거래에 대해서는 양도세가 부과되며, 그 주식이 중소기업인지 중견기업인지에 따라 양도세율이 달라집니다.
분할 | 기준 | 관세 |
대주주 | 1년 미만 보유 중소기업 외 주식 | 30% |
양도소득세 과세표준 3억원 이하 | 20% | |
양도소득 과세표준 3억원 초과 | 6,000만원 + (3억원 초과 * 25%) | |
소수주주 | 중소기업 주식 | 10% |
중소기업 이외의 주식 | 20% |
주식양도소득세를 적용받을 때 대주주의 조건은? 대주주의 요건은 그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말 현재의 본인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을 포함한 지분율 또는 시가총액에 해당하는 경우 대주주가 대주주가 됩니다. 주식 등의 양도가 귀속되며, 다음의 요건을 충족합니다.
코스피의 경우 지분율이 1%이거나 지분가치가 10억원 이상이면 대주주가 된다. 코스닥은 2% 또는 10억원 이상, 코넥스 장외거래의 경우 4% 또는 10억원 이상이면 대주주가 된다.
주식세(증권거래세, 배당소득세)
주식세에는 양도소득세뿐만 아니라 주식거래세, 배당소득세도 포함된다. 증권거래세는 주식을 양도할 때 양도세 외에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주식거래세는 주식의 양도가액에 아래의 세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증권 거래 세율은 주로 거래하는 거래소에 따라 다릅니다.
(주식세(증권거래세))
- 주식 시장: 2021~2022년 0.08%, 2023년 0.05%, 2024년 0.03%
- 코넥스: 0.1%
- 코스닥, 금융투자협회 : 2021~2022년 0.23%, 2023년 0.2%, 2024년 0.18%
배당소득세는 주식을 소유한 법인으로부터 이익이나 잉여금의 배당금이나 배당금을 받았을 때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배당소득세는 배당소득금액에 주식세율 14%를 곱해 계산한다.
배당소득을 지급하는 자는 배당소득을 지급할 때 원천징수한 배당소득세액을 예치하여야 한다. 원천징수된 소득세는 징수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참고 자료
아래에 이번 글에서는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시기와 정부의 정년연장 방안과 관련된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65세 정년연장 시행기간과 정부의 정년연장 방안에 대한 현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년 65세 연장 시행기간, 정부 정년연장 방안)
아래에 이번 글에서는 정부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기초연금 40만원 지급 시기와 관련된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초연금 40만원 지급기간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기초연금 40만원 지급기간)
아래에 이번 글에서는 기초연금 수급자격의 변화와 연금개혁 현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변경이나 연금개편에 대해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변경, 연금개혁 현황)
아래에 이번 글에서는 공무원연금 개혁과 공무원 정년연장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연금 개편과 공무원 정년연장 관련 최신 동향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무원연금 개편, 공무원 정년연장)
마치다
주식 양도소득세, 주식세 (증권거래세, 배당소득세) 관련 정보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주식 양도 소득세, 주식 세금 (증권거래세, 배당소득세)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언급된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