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주련(아래) _ 청심정, 치한정, 소요정, 태극정, 청의정, 연경당, 선향재, 농수정 주련

창덕궁에서 만날 수 있는 조련은 낙선재, 한정당, 부용정, 애련정, 존덕정, 관관정, 면우사, 승재정으로 이어진다. 주련의 의미와 종류 등 주련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주련을 이해하다 기사를 참조하십시오

반응형


청심정

① 松排山面千重翠(송배산면천중취) : 사면에 늘어선 붓이 천겹의 파랑색이다.
② 月點波心一顆珠(월점파심과주) : 물에 비친 달이 공과 같다.
③ 巖桂高凝仙掌露(암계 고응선장로) : 선장(仙掌)의 이슬이 바위 위의 계수나무에 맺힌다.
④ 畹蘭淸暎玉壺氷(원란청 연곡호빙) : 옥병 속 얼음이 정원의 난초에 선명하게 비친다.

취한 조련

① 一庭花影春留月(일정화영춘류월) : 봄에는 달에 달라붙어 사방에 꽃 그림자
② 滿院松聲夜聽濤(원원송성야청도) : 소나무의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밤에 파도소리를 듣듯 집안을 가득 채운다.
③ 구천로담금반중(九天露湛金盤重) : 구천의 밧줄은 굵고 금판은 무겁다.
④ 오색 구름이 파란 지붕을 덮는다.
⑤ 寶扇初開移玉座(보선초외왕좌) : 웅장한 부채를 펴고 왕위를 움직인다.
⑥ 華燈錯出暎朱塵(화등착추령주진) : 꽃등이 붉은 장막을 어지럽게 비춘다.
⑦ 鸞輿逈出千門柳(나뵤형출천문류) : 난녀(鸞輿)가 천문 버드나무를 통과하여 나온다.
⑧ 閣道廻看上苑花(각도회간상권화) : 비스듬히 고개를 돌려 위쪽 꽃을 바라본다.
⑨ 種成和露桃千樹(종성화도천수) : 이슬에 젖은 복숭아 천 송이 심기
⑩ 借與摩霄鶴數群(차여마 소학수군) : 하늘 높이 나는 두루미 여러 마리에게 주었다.
⑪ 拂水柳花千萬點(불수유화만점) : 천만 버드나무가 물에 닿자 꽃이 피었다.


한자는 흰색 바탕에 파란색 세로 글자로 쓰여 있다
창덕궁

소정주련

① 一院有花春晝永(일원유화춘주영) : 정원 전체에 꽃이 피고 봄날이 길다.
② 八方無事詔書稀 ​​2) 八方無事詔書稀
③ 露氣曉連靑桂月(노기효련청계월) : 이슬 기운이 새벽이 되어 청계(靑桂)의 달과 함께 계속된다.
④ 珮聲遙在紫薇天(패성요재자미천) : 아스라이자미(紫薇)의 하늘에서 패작소리가 들린다.

태극정 주련

① 隔窓雲霧生衣上(격창군무산의상) : 창 밖에는 구름과 안개가 옷 위로 올라간다.
② 捲幔山川入鏡中(권만산천입구) : 장막을 지나면 산천이 거울에 비친다.
③ 花裏簾櫳晴放燕(화리염룡청반연) : 꽃 속에 빗방울과 제비가 창밖으로 날아간다.
④ 柳邊樓閣曉聞鶯(유변정효문앵) : 버드나무 옆에서 새벽에 정자에서 꾀꼬리 소리가 들린다.

청의정 주련

① 僊露長凝瑤艸碧(청로장은교초월) : 신선의 이슬이 길 요초(瑤艸)에 푸르게 맺힌 것이다.
② 彩雲深謢玉芝鮮(차은심훅지선) : 색구름이 옥지를 깊고 섬세하게 감쌌다.
③ 魚躍文波時撥剌(어약문빠시발랄) : 물고기가 물위를 뛰다가 가끔 펄럭인다.
④ 鶯留深樹久俳佪 안류심수점도(鶯留深樹久俳佪) : 꾀꼬리는 울창한 나무에 오래 머무른다.

연경당주련

① 秦城樓閣烟花裏(진성각 연화리) : 진나라 성곽은 연꽃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② 한황산하(錦繡中): 한나라 황제의 산과 강은 금강에 위치한다.
③ 臨事無疑知道力(임사무의 지도) : 일할 때 의심이 없어 길을 안다.
④ 讀書有味覺心閒(독서유미각심한) : 독서의 묘미가 있어 마음이 자유로움을 실감한다.
⑤ 雲裏帝城雙鳳闕(운리제성 쌍봉궐) : 구름 속에 한 쌍의 봉궐(鳳闕)이 있고,
⑥ 雨中春樹萬人家(우정춘수만?) : 봄 숲에는 비가 내리는 사람이 많다.
⑦ 瑞氣逈浮靑玉案(서기형부천옥관) : 청옥(靑玉案)에 상서로운 기운이 멀리 맴돈다.
⑧ 日華遙上赤霜袍(일화요상적상포) : 햇빛이 적상포(赤霜袍)보다 훨씬 높게 떠오른다.
⑨ 雲近蓬萊常五色(운은-봉래-상오색) : 봉래궁 근처라 구름이 항상 오색이다.
⑩ 雪殘鳷鵲亦多時(다시 설잔지작작) : 눈이 지작관(鳷鵲觀)에 머물며 오랫동안 쌓인다.
⑪ 山中老宿依然在(산중노숙연재) : 산중노인은 항상 앉아 있다.
⑫ 案上楞嚴已不看(아낭 능검 이불간) : 책상 위 능가마경을 보지 않았다.
⑬ 名將存心惟地理(명인공경): 스승이 생각하는 것은 지리뿐이다.
⑭ 聖門傳業只官書(성문전업지관서) : 성인학생들 사이에 업소로 통하는 관공서일 뿐이다.
⑮ 九天日月開新運(구천일월신기) : 구천의 해와 달이 새로운 길을 열어,
⑯ 萬里雲霞醉太平(만리운하와 태평) : 만리의 구름과 노을은 평화에 취한다.
⑰ 千里春風回碧巒(천리춘풍회벽만) : 천리의 봄바람은 푸른 봉우리로 돌아가고
⑱ 南極祥光兆吉昌(남극상광조길창) : 남극의 상서로운 빛은 상서로운 일을 예고한다.
⑲ 請於上古無爲世(천어상고무현자) : 상고시대와 같이 나태한 세상에서
⑳長作天家在野臣(장장청가재야신) : 길은 황제의 백성이 되어달라고 청한다.
㉑功崇六宇郭中令(공성육우왁) : 세상에서 공이 가장 높은 사람은 곽중령(郭中令)이다.
㉒ 荷香風共聖之淸(하하향풍공성지청) : 연꽃향기 바람과 함께하는 이는 성자 중에 가장 맑다.
㉓兩京名詔皆高士(양경명 초개고사): 두 서울의 법령에 의해 임명된 사람은 모두 고사이다.
㉔四時和氣及蒼生(사시화기급창생) : 4시가 되면 잔잔한 기운이 만인에게 전해진다.
㉕山靜日長仁者壽(산정일장인자수) : 산이 잔잔하고 해가 오래 빛나며 왕족이 장수한다.
㉖月明人影鏡中來(월명인영경중래) : 달이 밝아 거울에 사람의 그림자가 비친다.
㉗半窓踈影梅花月(반창소영매화월) : 창 한쪽의 엷은 그림자가 달빛에 매화꽃 같으니,
㉘一榻淸風栢子香(일탑청풍백자향) : 책상 위의 맑은 바람은 측백나무의 향기.
㉙山逕繞邨松葉暗(산경교촌송엽암) : 마을을 산길이 둘러싸고 솔잎이 빽빽하다.
㉚柴門臨水稻花香(시문임수수화향) : 대문이 물가에 있어 벼꽃 향기가 난다.
㉛ 於此閒得少佳趣(어차한득소가취) : 여기서 한가롭게 좋은 맛을 낸다.
㉜ 亦足以暢敍幽情(역족이창서유정) : 깊은 애정을 표현하기에 충분하다.
㉝淸興高於將上月(청흥고어장상월) : 맑은 설렘이 떠오르는 달보다 높고,
㉞深情溢比欲開尊(심정일비욕개준) : 술 취한 사람이 마음을 터놓을 만큼 깊은 애정이 넘친다.
㉟僮約屢申松菊徑(동약누신송국경) : 소나무와 국화 길에서 노복과의 약속을 자주 했는데,
㊱水租先報芰荷洲(수조경): 나도 수조를 물가에서 먼저 받았는데, 거기에 밤나무와 연꽃이 피었다.
㊲春雨杏花虞學士(천우행화우학사) : 봄비가 내리면 우학사(虞學士)가 매화꽃을 노래하였다.
㊳酒旗山郭杜司勳(주기산의 스승) : 여관의 산성은 두선사(杜司勳)가 읊었다.
㊴樂意相關禽大語(나쿠이 상관대어) : 행복한 뜻 새가 서로 마주보고 지저귀며
㊵生香不斷樹交花(생향불단수교화) : 향기가 끝이 없어 나무와 꽃이 조화를 이룬다.

선향재 주련

①道德摩勒果(도덕마룩) : 도덕은 마룩(摩勒)의 열매이다.
② 문장발담화(文章鉢曇花) : 문장은 우담바라의 꽃이다.
③ 장자노詞伯(장자야 사백) : 장자야는 언어에 능한 문인으로,
④ 李將軍畫師(이장군 화가) : 이장군(李將軍畫師)은 뛰어난 화가이다.
⑤ 汝南尋孟博(예남심맹박) : 맹박을 만나러 연암국토로 가다,
⑥ 高密訪康成(高密訪康成) : 고오미(高密)나라 강성(康成)에 가 있다.
⑦ 細讀斜川集(세독사천집) : 사천집을 잘 읽고,
⑧ 新烹顧渚茶(신팽고저다) : 새로운 고저차를 끓인다.
⑨ 養竹不除當路筍(순서대로 양죽불제당로) : 대나무 기르는 것을 좋아해서 길에서 자라는 죽순을 자르지 않는다.
⑩ 애송류드캐문지(愛松留得礙門枝) : 붓을 좋아해서 문을 덮고 있는 나뭇가지를 놔두었다.
⑪ 史編作鑑推君實(사편작추군실) : 설화를 편찬하기 위해 자치관을 세운 사마군실(司馬君實)을 두었다.
⑫ 賦筆凌雲擬子虛(부필능의자허) : 부를 쌓는 능력은 구름을 뛰어넘는 자허(子虛)에 비견된다.
⑬ 瀑布之餘雲盡水(지어운진수폭포) : 폭포 밖에는 구름이 다 물이 되고,
⑭ 茯苓其上樹交花(복령기상수교화) : 나무와 꽃, 복령 위에 어울리는 꽃.
⑮ 却大眞山看畫圖(각대진산간화도) : 문득 실제 산 앞에 서면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하다.

농업수정주륜

① 五色天書詞絢爛(오색천서사현란) : 오색조조(詔書)의 글이 아름답게 빛나고,
② 九重春殿語從容(구중춘전어종용) : 구중궁 춘전에서 조용하다.
③ 춘수방생화래경(春水方生華來鏡) : 샘물이 막 솟아오르고 꽃이 거울에 비친다.
④ 吾廬可愛酒滿床(오려가애주만상) : 나의 오두막은 아름답고 포도주는 상으로 가득하다.
⑤ 如斯嘉會知難得(회진안득) : 이렇게 좋은 만남을 갖기 힘든건 이해하지만,
⑥ 상주인야규연(常駐詩人若有緣) : 영원히 남는 시인은 인연이 있는 것 같다.
⑦ 漢魏文章多古質(한위문장고질) : 漢(漢)과 魏(魏)의 어구는 고풍스럽고 소박한 정취가 많이 나는데,
⑧ 春秋風日長精神(춘추풍일장신) : 봄과 가을의 바람의 기운이 기운을 북돋는다.

창덕궁 주련(위) _낙선재, 정당, 부용정, 애련정, 존덕정, 관완정, 편우사, 승재정 주련

창덕궁 정원에서 볼 수 있는 낙선재, 한정당, 부용정, 애련정, 존덕정, 관완정, 면우사, 승재정의 주련을 살펴보자. 등 주련에 대한 일반 정보 예를 들어 주련의 의미와 종류는 주련의 이해를 참조한다.

ga-bogo.tistory.com

(서울고궁투어) 창덕궁에서 ‘현판’의 의미 알아보기

불의 여정에서 만나는 표지판에는 무언가가 쓰여 있습니다. 눈을 뜬 맹인은 없습니다. 창덕궁의 들판

ga-bogo.tistory.com


참조 페이지 | 창덕궁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