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코인·가상자산 업계 의혹 증폭
강남 사건과 관련해 가상화폐 ‘P코인(퓨레버 코인)’이 사건의 핵심 수단으로 지목되면서 가상자산 업계와 발행사를 둘러싼 의혹이 화제가 되고 있다. P코인은 상장 의혹, 시세 조작 의혹 등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이번 글에서는 사건의 배경과 P코인의 연관성, 암호화폐 업계의 각종 의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urevercoin 발행인과 이 대표의 배경
13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퓨레버 코인의 발행사는 ‘유니네트웍스’다. 유니네트웍스 대표이사 이모 코인 개발자는 KT 마케팅본부 영업사원이었다. 2007년 퇴사 후 2009년 중고휴대폰을 수출하는 KT미디어 대표를 거쳐 2014년 유니네트웍스를 설립했다.
이 대표는 CEO 인사말에서 유니네트웍스가 IT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립된 ICT 및 솔루션 개발 기업이라고 소개했다. 직원은 6명입니다. 유니네트웍스가 공개한 회사 연혁을 보면 피코인은 2020년 11월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 상장 직전인 같은 해 10월 2.0 사업비전을 발표했고, 2021년 3월 퓨리스캔 2.0을 출시했다. 이 대표는 피코인 상장 이후 2022년 초까지 언론 인터뷰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P코인 시세조작 의혹과 강남사건의 연관성
재단이 코인원에 제출한 백서에 따르면 이 대표는 대기업, 지자체, 국제기구, 공공기관 등과 파트너십을 맺었다며 관련 사진을 올렸다. 그는 현직 국회의원들이 주최하는 미세먼지 관련 포럼에서 정치인들과 함께 찍은 사진, 연사로 참석한 영상 등 대대적인 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피코인)은 외부 코인 마케팅 업체를 통해 코인을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재단에서도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행사를 진행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상장 성명서에서 퓨리에버는 동명의 블록체인 기반 공기질 관리 플랫폼을 활용해 깨끗한 공기를 생성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실내공기질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용자에게 보상하는 방식입니다. 리스팅 스테이트먼트는 “PURE 토큰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제공하면 리워드로 제공되며, 퓨리샵이나 퓨리픽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검찰은 최근 코인거래소가 별도의 상장기준 없이 코인을 상장한 사실을 확인하고 피코인에 대해 “발행재단이 작고 규모가 작은 등 재정상황이 열악한데도 거래소에 단독으로 상장됐다”고 밝혔다. 부채비율이 매우 높다.” 이어 “상장 후 마켓메이킹(MM)을 통한 가격조작과 고가 매도 행위로 많은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입혀 결국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코인원은 상장 직후 2000원대에서 거래되다가 2020년 12월 말 1만원대까지 치솟았지만 6개월 만에 30원대로 급락했다. 10일 현재 가격은 단 2.16원이다.
한편, 지난달 말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강남 사건’은 가상화폐 피코인 투자를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이 계획하고 저질렀다고 사실상 결론이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