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콜레스테롤, LDL, HDL, 트리글리세리드 수치 및 이를 낮추는 방법

콜레스테롤은 뇌, 간, 내장, 심장, 신경, 근육, 피부 등 우리 몸 곳곳에 존재하며 세포막을 만드는 데 필요하며 비타민D, 담즙산, 각종 호르몬 등도 필요하다. 그러나 혈액에 과잉으로 존재하면 혈관벽에 침착되어 죽상동맥경화증을 일으키고, 고콜레스테롤혈증이나 고혈압의 경우에는 그 과정을 촉진시킨다. 한국인의 식습관이 서구화되고 비만 인구가 증가하면서 고콜레스테롤혈증과 이상지질혈증(hyperlipidemia) 환자도 늘고 있다. 그래서 심혈관질환, 관상동맥질환 환자가 늘고 있지만 진행이 매우 높아야 발견되기 때문에 건강검진 시 HDL, LDL콜레스테롤 체크를 하여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콜레스테롤 검사에서 정상 콜레스테롤 수치, 일반적으로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를 검사합니다. 정상적인 수준을 봅시다. 총콜레스테롤: 역가가 200mg/dL 미만, 200~239가 임계치, 240 이상이면 높음. 숫자가 높을수록 고지혈증과 동맥경화증의 발생률이 높습니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저밀도) : 역가는 100mg/dL, 정상범위는 100~129입니다. 130~159는 위험, 160~189는 높음, 190 이상은 매우 높음입니다. LDL콜레스테롤은 나쁜 콜레스테롤에 해당하기 때문에 높을수록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높으며, 그렇다고 하더라도 증상이 없는 HDL콜레스테롤(고밀도) 수치를 낮추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60이상이 높음 , 40 미만은 낮음입니다. 좋은 콜레스테롤이기 때문에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높을수록 좋다. 중성지방이 500 mg/dl 이상이면 급성 췌장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방법 이상지질혈증(고지질혈증)을 예방하고 동맥경화 진행을 늦추려면 규칙적으로 식사하되 과식은 피한다. 따라서 육류의 지방 섭취를 줄이고, 탄산음료, 쿠키, 케이크, 튀긴 음식 등 단 음식을 끊어 칼로리 섭취를 줄이고, 채소 섭취를 늘려야 한다. 달리기,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의 신체활동과 운동보다 더 중요한 것은 주 3회 3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이다. 금연 혈중 지방이 많고 담배를 피우면 심근경색 위험이 5배 이상 높아지므로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체중 과체중 또는 비만은 LDL 및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체중을 줄여야 합니다. 체중 감량 외에도 프릭솔이나 오메가-3와 같은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이 되는 영양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매년 검진을 통해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