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선언 대 함수 표현식

함수 선언: 어디에서나 호출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sayHello(){
  console.log('Hello');
}
sayHello(); // 함수 선언 이후에 함수를 호출했다.

함수 선언 전에 함수를 호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sayHello();
function sayHello(){
  console.log('Hello');
}

인터프리터 언어: 차례로 실행되어 즉시 결과를 반환하는 언어

JavaScript는 실행 전 초기화 단계에서 코드의 모든 함수 선언을 찾아 생성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지점은 실제 값보다 높습니다. 리프팅이라고 합니다. (실제 코드 위치가 올라간다는 개념이 아닙니다.)

함수 표현식: 어디에서나 호출할 수 없습니다.

let sayHello = function(){
  console.log('Hello');
}
sayHello();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가능합니까? 별로. num이라는 변수가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console.log(num); 
let num =1 ;

화살표 기능

let add = function(num1,num2){
  return num1+num2;
}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습니다.

let add = (num1,num2) => num1+num2;

let sayHello = name => `Hello, ${name}`; // 인수가 하나인 경우 괄호 생략

let showError = () => {
  alert('error!');
}

let add=(num1,num2)=>{
  const result = num1+num2;
  return result;
}

이 영상을 보고 공부했습니다.

https://youtube.com/watch?v=KF6t61yuPCY&si=EnSIkaIECMiOmarE